728x90
반응형
텔레그램 챗봇 만들기를 해보겠다.
예제가 python 예제가 많고 자바나 코틀린을 별로 없길래 코틀린으로 해 보겠다.
일단 처음 시작은 다른 블로그나 예제와 다르지 않다.
먼저 BotFather를 찾아 BotFather와의 대화창에 진입을 한다. 나는 이미 찾아서 대화를 해봤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나오지만 검색해본 적이 없다면 GLOBAL SEARCH 또는 한글로 전체 검색 섹션만 나올 것이다. 헷갈리지 않기 바람.
봇파더와 대화창을 열고 시작을 하게 되면 하기와 같이
/newbot 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따라하면된다.
이제 코드로 가보자 나는 IntelliJ IDEA로 코틀린 프로젝트를 생성 하였다.
project/build.gradle에 telegrambot api 을 사용할수있도록 추가하고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telegram:telegrambots:5.7.1'
}
TelegramLongPollingBot을 상속받아 token정보 및 username을 전달하고 입력을 전달 받을 수 있는 listener를 implement하도록 한다.
import org.telegram.telegrambots.bots.TelegramLongPollingBot
import org.telegram.telegrambots.meta.TelegramBotsApi
import org.telegram.telegrambots.meta.api.objects.Update
import org.telegram.telegrambots.updatesreceivers.DefaultBotSession
class Main: TelegramLongPollingBot() {
companion object {
@JvmStatic
fun main(args: Array<String>) {
val telegramBotsApi = TelegramBotsApi(DefaultBotSession::class.java)
telegramBotsApi.registerBot(Main())
}
}
override fun getBotToken(): String {
return "5171648567:AAHJACfdsbEIePlKLlg5en1aPFNyFyp6avk"
}
override fun getBotUsername(): String {
return "nbjkfhkasdfj_bot"
}
override fun onUpdateReceived(update: Update?) {
System.out.println(update.toString())
}
}
코드 작성 후 실행을 하고 Telegram에서 해당 Bot을 찾아 채팅을 입력하면 하기 listener를 통해 update라는 객체로 입력값이 전달 되게 된다.
override fun onUpdateReceived(update: Update?) {
System.out.println(update.toString())
}
다음 포스팅에는 심화 과정 또는 간단한 정보를 가져와 봇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포스팅을 해 보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
'Develop > 텔레그램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legram] 텔레그램 챗봇 만들기 - 챗봇 정보 (5) | 2022.03.26 |
---|---|
[Telegram] 텔레그램 챗봇 만들기 - 챗봇설명 (이 봇은 무엇을 할 수 있나요?) (11) | 2022.03.24 |
[Telegram] 텔레그램 챗봇 만들기 - 인라인키보드 (Kotlin) (3) | 2022.03.21 |
댓글